1.3 컴퓨터의 종류
컴퓨터는 규모와 처리 성능에 따라 슈퍼컴퓨터, 대형컴퓨터, 미니컴퓨터,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3.1 슈퍼 컴퓨터
슈퍼 컴퓨터는 일기예보, 핵 실험 등 계산량이 많은 작업을 빠른 속도로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컴퓨터다. 주로 다중 파이프라인이나 벡터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과학기술용 또는 군사용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다수의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백 개~수십만 개를 연결하여 병렬로 처리하는 MPP 형태의 슈퍼컴퓨터가 개발중이다.
1.3.2 대형 컴퓨터
대형 컴퓨터는 주로 대기업, 은행, 및 연구소 등에서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다. 주로 전산실에 설치되며, 각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자료를 처리한다. 근래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에 따라 그 중요성은 감소했으나, 대규모의 업무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1.3.3 미니 컴퓨터
미니 컴퓨터는 1960년대에 생긴 용어로, 대형 컴퓨터보다는 작고 느리지만 개인용 컴퓨터보다는 크고 빠른 중형 규모의 컴퓨터를 말한다. 대형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해 업무를 처리한다. 현재는 개인용 컴퓨터가 과거의 미니 컴퓨터보다 성능이 훨씬 우수하기 때문에, 미니 컴퓨터의 용어조차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1.3.4 워크스테이션
워크스테이션은 원래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 개발용으로 사용되는 컴퓨터를 말한다. 대부분의 연구소나 대학교에서 연구개발용이나 혹은 고정적으로 홈페이지 등의 서버를 운영할 때 많이 사용했으나, 고성능 개인용 컴퓨터가 출시되면서 수요가 감소했다. 워크스테이션의 외형은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하나 그래픽 처리, 데이터 관리 등 처리 기능이 더 우수하다. 워크스테이션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대형 컴퓨터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1.3.5 개인용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만든 컴퓨터를 말하는데, 보통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라고 부른다. 개인용 컴퓨터는 1인용 컴퓨터지만, 기본 성능은 물론 네트워크의 연결 성능도 좋아 대부분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 컴퓨터의 대중화 배경
1980년대만 하더라도 컴퓨터 시장은 IBM사의 대형 컴퓨터 위주였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윈도우 제품의 성공으로 컴퓨터의 대중화가 급격히 이뤄졌고, 그 결과 개인용 컴퓨터의 수요는 IBM사의 대형 컴퓨터 시장 수요를 추월하게 되었다. 즉 컴퓨터의 대중화를 가능하게 한 주요 배경은 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저가격화와 윈도우를 비롯한 소프트웨어의 발전이라 할 수 있다.
1.3.6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말한다. 휴대용 컴퓨터에는 가방에 들고 다닐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보다 작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이 있다.
스마트폰은 2004년 Research In Motion이 출시한 '블랙베리'가 미국 대도시의 사무 종사자를 중심으로 각광받으면서 보급되기 시작했다. 이후 2008년 7월 애플이 사용자 편의성이 좋고 앱스토어를 통한 콘텐츠 사용이 용이한 아이폰을 출시하면서 스마트폰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한다. 국내에서도 2009년 12월 애플의 아이폰이 출시되어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고, 이후 구글의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스마트폰이 국내 휴대폰 제조사에 의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애플은 2010년 4월에 아이패드라는 태블릿 컴퓨터를 출시했다. 아이패드는 9.7인치의 LCD를 탑재했으며, 아이폰과 같은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하여 아이폰에서 구동되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책과 애플에서 개발한 업무용 프로그램인 아이워크 등 보강된 기능이 탑재된 것이 특징이다.
2. 컴퓨터의 구성
컴퓨터란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산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계다.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입력 자료를 받아서 처리하며,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컴퓨터는 한 개 이상의 처리장치와 주변기기로 구성되며,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산술연산이나 논리연산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실질적인 계산 작업을 수행한다.
컴퓨터는 종류나 크기 또는 성능에 상관없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적 장치를,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말한다.
2.1 하드웨어
하드웨어는 모니터, 하드디스크, 프린터 등 컴퓨터와 관련된 물리적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입력 기능, 출력 기능, 처리 기능, 저장 기능을 담당한다. 하드웨어는 입력장치, 출력장치,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2.1.1 입력장치
입력 장치는 문자, 소리, 그림, 영상 등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전달받는 장치로,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등이 대표적이다.
2.1.2 출력장치
출력장치는 수행된 결과를 문서나 그림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장치로, 모니터나 프린터 등이 대표적이다.
2.1.3 중앙처리장치
중앙처리장치는 프로세서라고도 불리는데,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하여 결과를 얻기 위한 장치로 컴퓨터에서 가장 핵심적인 장치다. 중앙처리장치의 내부는 제어장치와 연삭장치로 구성된다. 제어장치는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간 프로그램의 명령과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연산장치는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컴퓨터와 관련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개요 1-4 (0) | 2021.12.31 |
---|---|
컴퓨터 개요 1-2 (0) | 2021.12.28 |
컴퓨터의 개요 1-1 (0) | 2021.12.28 |